🌸 한 송이 꽃에서 우주까지 – ‘광자 기반 양자 컴퓨터’의 혁명
“꽃이 아름답다는 건 예술가만 아는 게 아닙니다. 과학자는 그 안에 숨겨진 우주의 원리를 보는 사람이에요.” – 리처드 파인만
우리의 일상 속에 흔히 마주치는 꽃 한 송이조차 수백 조 개의 원자로 이루어진 작은 우주입니다. 이 엄청난 우주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구, 바로 양자역학(Quantum Mechanics) 이며, 이를 구현하고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도구가 바로 양자 컴퓨터(Quantum Computer) 입니다.

💻 2027년, 진짜 양자 컴퓨터 시대가 열릴까?
최근 전 세계가 들썩이게 만든 소식이 있었습니다.
미국 팔로알토의 스타트업 PsiQuantum(프사이퀀텀) 이 2027년까지 무려 100만 큐비트 이상의 양자 컴퓨터를 완성하겠다고 발표한 것이죠.
📉 발표 이후 양자 관련 주식이 요동쳤고, 전 세계 연구기관들은 이 발표를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단순 허풍이라 보기엔 무려 마이크로소프트와 블랙록이 투자한 기업이라는 점에서 무게감이 큽니다.

🧠 큐비트란 무엇인가?
큐비트(Qubit)는 기존 컴퓨터의 비트(0 또는 1)와 달리,
0과 1의 상태를 동시에 가질 수 있는 양자 정보 단위입니다.
🔍 미로의 출구를 찾는 예시로 보면,
- 기존 컴퓨터는 한 경로씩 탐색합니다.
- 양자 컴퓨터는 모든 경로를 동시에 계산해 가장 빠른 해답을 찾습니다.
⚙️ 다양한 큐비트 기술들
현재 양자 컴퓨터에는 여러 종류의 큐비트 기술이 존재합니다:
기술 유형 | 장점 | 단점 | 대표 기업 |
초전도 큐비트 | 빠른 연산 속도, 기존 반도체 공정과 호환 | 극저온 유지 필요, 오류율 비교적 높음 | IBM, 구글, 리게티 |
이온 트랩 큐비트 | 정밀 제어, 높은 안정성 | 느린 속도, 복잡한 장비 필요 | 아이온큐(IonQ) |
광자 큐비트 | 에너지 효율 탁월, 실리콘 칩 기반 대량 생산 가능 | 복잡한 조정 필요 | 프사이퀀텀(PsiQuantum) |
🔬 PsiQuantum의 혁신: 광자 큐비트를 반도체처럼?
프사이퀀텀은 마치 반도체를 만들듯이 광자 기반의 양자칩(오메가) 을
실리콘 웨이퍼로 제조하며 대량 생산 체계를 갖췄습니다.
📸 공개된 칩은 ‘웨이퍼처럼’ 보이지만, 내부에선 광자들이 99.72%의 정확도로
정보를 전송하고, SPAM 수치는 무려 **99.98%**에 달한다고 합니다.
🔧 이 칩은 세계 5위 파운드리인 글로벌 파운드리에서 제조되며,
45나노 공정과 실리콘 포토닉스 기술이 적용되었어요.
🌍 글로벌 경쟁 구도 – 한국은 어디쯤?
기업 | 큐비트 수 (2025년 기준) | 기술 |
IBM | 약 1,000개 | 초전도 |
구글 | 약 100개 이상 | 초전도 |
마이크로소프트 | 논리 큐비트 24개 달성 | 정교한 오류 교정 기술 |
한국 애터리 | 8큐비트 성공 | 자체 개발 광자 기반 기술 |
👀 아직까지는 한국의 기술력은 초반 단계이지만,
2025년 기준으로 정부가 약 2,000억 원을 투자하며 뒤쫓고 있습니다.
🚀 양자 컴퓨팅의 미래 – 누가 승자가 될까?
양자 컴퓨팅은 아직 **승부가 나지 않은 ‘기술 대전’**입니다.
- 🌡️ 초전도 큐비트는 빅테크가 주도하지만 온도 문제 있음
- 🔬 이온 트랩은 정교하지만 장비가 많아야 함
- 🔦 광자 큐비트는 속도, 에너지, 생산성에서 큰 장점
- 🧩 그리고 논리 큐비트(오류 교정 큐비트) 확보가 관건

🇰🇷 한국, 기술은 1류… 환경도 따라줘야
이건희 회장의 말처럼,
“정치는 4류, 관료는 3류, 기업은 1류”
그리고 우리는 여기에 한 마디 더 덧붙입니다.
“과학 기술도 1류입니다.”
✨ 하지만 기술을 제대로 꽃피우기 위해선 정치·사회적 뒷받침이 필수입니다.
지금의 투자와 관심이 제2의 HBM처럼 세계를 선도하는 기술로 이어지길 바랍니다.
🎯 결론: 광자는 미래다
광자 기반 양자 컴퓨터는 단지 꿈이 아니라 다가오는 현실입니다.
프사이퀀텀의 슬로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The First Useful Quantum Computer in the World”
2027년, 우리는 진짜 유용한 양자 컴퓨터를 만나게 될까요?
그 답은 지금 이 순간에도 연구소 안에서, 웨이퍼 위에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양자 컴퓨터, 큐비트, 프사이퀀텀, 광자 기반 양자 컴퓨팅, PsiQuantum, 양자 기술, 실리콘 포토닉스, 초전도 큐비트, 이온 트랩, 한국 양자 기술, 마이크로소프트 투자, 미래 기술 트렌드